文대통령 지지율 32.4%로 '취임 후 최저치'...왜?
아주경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율이 집권 이후 최저치인 32.4%로 조사됐다. 다만 '잘한다'는 응답과 '못한다는 응답 사이에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포함돼 다른 조사와는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내일신문과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성인 12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8%포인트)에 따르면 응답자 중 32.4%가 '잘하고 있다', 절반에 달하는 49.3%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8.3%였다.
이 같은 지지율은 근래 조사 중 가장 낮은 수치인 동시에 집권 3년차를 맞은 문 대통령의 취임 이후 지지율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3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높았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에서만 긍정평가가 더 높았고, 서울과 대전·충청, 강원·제주, 대구·경북에서는 부정평가가 50%를 넘었다.

문재인 대통령. [사진=아주경제 편집팀]
다른 조사의 경우 4점 척도(매우 긍정-긍정-부정-매우 부정)로 묻는 반면 이번 조사는 2점 척도(긍정-부정)다. 또 다른 조사와 달리 질문 과정에서 답변 항목으로 '잘 모르겠다'는 응답을 제시한다. 이럴 경우 긍정·부정 답변이 줄고 모름 답변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 4일 발표한 경향신문·한국리서치 조사에서 문 대통령이 국정 운영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46.4%에 달하는 데 비해 '잘 못하고 있다'는 답변은 49.4%였고, '모름'은 4.2%였다. 단순 비교가 어렵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만 같은 방식의 1월 내일신문·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한국리서치 조사에선 '잘하고 있다'는 답변이 39.1%로 '못하고 있다'는 응답(39.4%)과 유사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1.6%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지난 1월과 비교해 최근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하락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이 27.8%, 자유한국당 19.4%, 정의당 8.2%, 바른미래당 4.8% 순이었다. 무당층은 36.1%로 1위 정당 지지자들보다 많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유·무선 혼합 임의전화걸기(RDD)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CATI)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4.4%다. 상세한 내용은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박경은 기자 kyungeun0411@ajunews.com
실시간 베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