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기사 분신... 택시 공유서비스 '타다' 반대 정황
아주경제
택시기사가 서울광장 인근에서 분신했다.
15일 경찰과 소방당국은 택시기사 안모(76)씨가 이날 오전 3시 19분께 서울 시청광장 인근 인도에서 자신의 몸에 불을 붙였고 결국 숨졌다.
분신 이유에 대해 대표적 택시 '공유경제 모델로 꼽히는 '타다' 서비스에 반대해 분신한 것으로 추정된다서 카카오 카풀, 타다 등 차량 공유 서비스에 반대하며 세 명의 택시기사가 분신했다.
이는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2월 10일 택시 운전사 최모(57) 씨가 국회 앞에서 카카오 카풀 서비스에 항의하며 택시 안에서 분신해 숨졌고 올해 1월 9일에는 광화문역 인근에서 임 모(64) 씨가 스스로 몸에 불을 붙여 숨졌다.
임씨도 '택시기사가 너무 힘들다', '불법 카카오 카풀 도입에 반대한다'는 취지의 유서를 남긴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래 기자 kjl@ajunews.com
15일 경찰과 소방당국은 택시기사 안모(76)씨가 이날 오전 3시 19분께 서울 시청광장 인근 인도에서 자신의 몸에 불을 붙였고 결국 숨졌다.
분신 이유에 대해 대표적 택시 '공유경제 모델로 꼽히는 '타다' 서비스에 반대해 분신한 것으로 추정된다서 카카오 카풀, 타다 등 차량 공유 서비스에 반대하며 세 명의 택시기사가 분신했다.
이는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2월 10일 택시 운전사 최모(57) 씨가 국회 앞에서 카카오 카풀 서비스에 항의하며 택시 안에서 분신해 숨졌고 올해 1월 9일에는 광화문역 인근에서 임 모(64) 씨가 스스로 몸에 불을 붙여 숨졌다.
임씨도 '택시기사가 너무 힘들다', '불법 카카오 카풀 도입에 반대한다'는 취지의 유서를 남긴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연합뉴스 ]
김정래 기자 kjl@ajunews.com
실시간 베스트
핫포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