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바이오헬스 통한 일자리창출, 희귀질환 극복 등에 연간 4조원 투입

아주경제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충북 오송에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를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희귀질환 극복 등 국민건강에 이바지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는 지속적인 민·관의 투자, 세계 초고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 반도체와 같은 첨단산업 경험 등이 추진 배경으로 작용했다.

22일 문재인 대통령은 충북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에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등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연간 4조원 규모의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으로 수출, 일자리 찰출 등을 위뤄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계획이다. 먼저 정부는 제약·의료기기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18년 현재 1.8%에서 오는 30년 6%로 약 3배 끌어올리다는 계획이다. 또 같은 기간 동안 수출 500억 달러(한화 59조 7700억원), 일자리 3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정부에 따르면 2018년 현재 바이오헬스 부문 수출은 144억달러(한화 17조 2100억원), 관련 일자리는 87만개 수준이다.

먼저 혁신신약과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정부 투자가 대폭 확대된다. 정부는 연간 2조 6000억원 수준인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투자를 오는 2025년까지 4조원 이상 확대에 나선다.

연 매출 1조원 이상을 벌어드릴 수 있는 블로버스터 국산 신약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안도 나왔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총 15조원 규모로 조성 중인 스케일업 펀드를 활용해, 향후 5년간 2조원 이상을 바이오헬스에 투자한다.

이를 통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잇는 차세대 유망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각국일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신약개발 성공률 끌어올리기 정책도 제시했다. 이 일환으로 민간 벤처투자와 공동으로 우수 물질을 선별 투자하는 ‘투자연계형 연구개발(R&D)’를 신설하고 범부처 R&D 협업 및 공동기획을 확대한다.

또 표적항암제 등 개인 맞춤형 치료기술을 중심으로 전세계 의료 시장이 변해감에 따라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이 일환으로 최대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테이터를 구축한다. 내년 2만명 규모로 1단계 사업을 시작해 오는 2029까지 100만명 규모를 목표로 한다. 또 데이터 중심병원을 지정해 현대 병원별로 축적된 임상진료 데이터를 질환연구, 신약개발 등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신약개발 과정을 요율화하기 위한 인공지능(AI)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에도 나선다. 당장 올해부터 신약개발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신약개발 플랫폼 개발’ 연구개발(R&D) 사업을 시작한다.

또 병원을 바이오헬스 연구생태계 혁신 거점으로 육성한다. 정부는 우수한 연구기반을 갖춘 병원을 중심으로 ‘미래의료 연구개발 선도사업단’을 설치해 바이오헬스 기반기술 연구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병원 중심의 연구 단지를 적극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 밖에 선진국 수준으로 규제 합리화,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 확대 등을 추진한다. 정부는 올 하반기 중으로는 제약·의료기기 등 분야별로 선진국 수준에 맞는 규제개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신기술이라는 시장진입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효과검증 R&D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바이오헬스 기술의 발전으로 고령화 시대에 팽창하는 의료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지금은 바이오헬스 산업의 활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송종호 기자 sunshine@ajunews.com
실시간 베스트
핫포토
오늘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