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량리동 등 전국 76곳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
머니투데이
["투기 막기 위해 모니터링… 부동산 시장 과열 우려시 사업 중단"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회기동, 부산 영도구 대평동 일대 등 전국 76곳이 올 하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선정됐다.
정부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9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2019년도 하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안’을 의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2019년도 하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총 76곳이 선정됐다.
구체적으로는 허브 구축, 해양산업 혁신기지 조성, 일자리 복합기능 이음센터 조성 등 중대규모 사업 15곳이 선정됐으며 노후한 저층 주거지를 정비해 주차당 도서관 돌봄시설 등 생활 SOC(사회간접자본)를 공급하는 소규모 사업 61곳이 선정됐다.
특히 올해부터 사업 구상서로 선정 후 재생계획 수립방식 대신 ‘사업 구상서 없이 재생계획으로 바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행정절차를 간소화해 신속한 사업 착수가 기대된다.
이번에 선정된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회기동 일대는 서울시에서 최초로 시행되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 사업으로 홍릉 일대를 바이오 의료 R&D(연구개발) 거점으로 만들고 주변 대학·연구기관·기업·병원을 연계하는 바이오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사업비만 4859억원에 달한다.
사업비 1966억원이 투입되는 부산 영도구 대평동은 1912년 최초의 근대식 조선소가 설립된 조선산업의 발상지로 1970년대 호황을 누렸으나 최근 조선업 위기와 중국을 비롯한 후발국의 시장 잠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곳이다. 부산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산도시공사 등 지역 공공기관과 협업해 수리조선 산업 고도화 등을 꾀하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역 밀착형 생활 SOC 공급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지는 경남 창원시 소계동, 부산 남구 용호마을 등이다.
경남 창원시 소계동은 철도 고속도로 산지로 둘러싸여 고립된 지역으로 창원시는 대상지 내 부족한 어린이 노인시설 등을 공급한다. 이와 함께 통학로 정비, 테마길 조성, 집수리 사업 등이 진행된다.
부산 남구 용호마을은 1968년 부산시 일대 철거민들의 정책 이주지로 2005년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됐다가 2014년 해제됐다. 부산 남구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주거만족도 개선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이외 경기 부천시 대산동, 경기 안산시 상록구 본오2동 등 47곳은 문화체육관광부 복지부 고용부 행정안전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15개 부처의 99개 도시경쟁력 강화 사업이 연계된다.
정부는 ‘도시재생뉴딜 성과관리지원 컨설팅단’을 구성해 지역간 도시재생 역량 격차를 완화하고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뉴딜사업이 외지인의 부동산 투기수단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한국 감정원과 함께 선정지역 및 인근 부동산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지자체가 부동산시장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부동산 시장의 과열이 우려되는 경우 사업을 중단 또는 연기하고 차년도 사업 선정과정에서 불이익을 부여하는 등 부동산시장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선옥 기자 oops@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2019년도 하반기 뉴딜사업 대상지 |
정부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19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2019년도 하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안’을 의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2019년도 하반기 도시재생 뉴딜사업 총 76곳이 선정됐다.
구체적으로는 허브 구축, 해양산업 혁신기지 조성, 일자리 복합기능 이음센터 조성 등 중대규모 사업 15곳이 선정됐으며 노후한 저층 주거지를 정비해 주차당 도서관 돌봄시설 등 생활 SOC(사회간접자본)를 공급하는 소규모 사업 61곳이 선정됐다.
특히 올해부터 사업 구상서로 선정 후 재생계획 수립방식 대신 ‘사업 구상서 없이 재생계획으로 바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행정절차를 간소화해 신속한 사업 착수가 기대된다.
이번에 선정된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회기동 일대는 서울시에서 최초로 시행되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 사업으로 홍릉 일대를 바이오 의료 R&D(연구개발) 거점으로 만들고 주변 대학·연구기관·기업·병원을 연계하는 바이오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사업비만 4859억원에 달한다.
사업비 1966억원이 투입되는 부산 영도구 대평동은 1912년 최초의 근대식 조선소가 설립된 조선산업의 발상지로 1970년대 호황을 누렸으나 최근 조선업 위기와 중국을 비롯한 후발국의 시장 잠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곳이다. 부산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산도시공사 등 지역 공공기관과 협업해 수리조선 산업 고도화 등을 꾀하는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역 밀착형 생활 SOC 공급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지는 경남 창원시 소계동, 부산 남구 용호마을 등이다.
경남 창원시 소계동은 철도 고속도로 산지로 둘러싸여 고립된 지역으로 창원시는 대상지 내 부족한 어린이 노인시설 등을 공급한다. 이와 함께 통학로 정비, 테마길 조성, 집수리 사업 등이 진행된다.
부산 남구 용호마을은 1968년 부산시 일대 철거민들의 정책 이주지로 2005년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됐다가 2014년 해제됐다. 부산 남구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으로 주거만족도 개선과 커뮤니티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이외 경기 부천시 대산동, 경기 안산시 상록구 본오2동 등 47곳은 문화체육관광부 복지부 고용부 행정안전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15개 부처의 99개 도시경쟁력 강화 사업이 연계된다.
정부는 ‘도시재생뉴딜 성과관리지원 컨설팅단’을 구성해 지역간 도시재생 역량 격차를 완화하고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뉴딜사업이 외지인의 부동산 투기수단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한국 감정원과 함께 선정지역 및 인근 부동산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지자체가 부동산시장 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부동산 시장의 과열이 우려되는 경우 사업을 중단 또는 연기하고 차년도 사업 선정과정에서 불이익을 부여하는 등 부동산시장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선옥 기자 oops@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베스트
핫포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