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세종대왕 애민정신과 한글 지킨 독립운동가 민족 정신 새겨”
브릿지경제
문 대통령, “세종대왕 애민정신과 한글 지킨 독립운동가 민족 정신 새겨”
![]() |
페이스북에 게재한 문재인 대통령 573돌 한글날 메시지(청와대) |
문재인 대통령이 9일 573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일제강점기 한글을 지켜낸 독립운동가들의 민족 정신을 되새긴다”고 기념의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3.1독립운동 100주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에 맞는 뜻깊은 한글날”이라며 이 같은 한글날 기념 메시지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일제강점기에는 한글을 지키는 것이 곧 독립운동이었다.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연구회 선각자들은 고문과 옥살이를 감수하며 한글을 연구했고 끝내 1947년 ‘우리말큰사전’을 편찬했다”라며 “말은 사람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라고 선생들은 머리말에 적었다”고 밝혔다.
이어 “한글만이 우리의 생각을 온전히 담아낼 수 있다.
김소월의 ‘진달래꽃’, 윤동주의 ‘별 헤는 밤’, 방정환 선생의 순수아동잡지 ‘어린이’, 항일 언론 ‘대한매일신보’는 순 우리글로 쓰였다”며 “우리 글을 쓰고 읽을 수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삼천리강산을 잊지 않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글은 배우기 쉽고 아름다운 글로 1945년 무려 78%였던 문맹률은 13년이 지난 1958년 4.1%로 줄었고 글을 깨친 힘으로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끌 수 있었다”며 “국어학자들이 목숨으로 지킨 한글이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마중물이 되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류와 관련해 “한글이 대한민국이며 한글이 우리를 세계와 연결한다.
간도, 연해주, 중앙아시아, 하와이를 비롯해 우리 민족이 새로 터를 잡은 곳에서는 어디든지 학교부터 세워 한글을 가르쳤다”고 말하며 “지금도 전 세계 180개 세종학당에서 한글을 배우려는 열기가 아주 뜨겁다.
국경을 넘는 한류의 밑바탕에 한글이 있었다.
우리말 노래를 따라 부르는 젊은이들을 만날 때마다 한글에 대한 자긍심을 느꼈다”고 소감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글 탄생의 애틋한 마음을 되새기며 573돌 한글날을 함께 축하한다”며 “우리 말과 글을 지키고 가꿔온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한글로 남·북한이 동질감을 되찾자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이날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제573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요즘 우리에게는 세종대왕께 부끄러운 일이 생기고 있다.
조국 분단 70년은 남북의 말까지 다르게 만들고 있다”며 이 같은 뜻을 밝혔다.
이 총리는 “겨레말 큰사전을 남북이 함께 편찬하기로 2005년에 합의했지만 진행이 원활하지 않다”며 “겨레말 큰사전 공동편찬을 위해 남북이 다시 마음을 모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을 줄이고 전문용어도 쉬운 우리말로 바꿔야 한다”며 “거칠고 어지러운 말과 글을 줄이고 곱고 가지런한 말과 글을 늘리도록 언론과 학교와 정부가 더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총리는 한글 세계화를 위해 세종학당을 2022년까지 220곳으로 늘리고 해외 파견 한국어 교원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주시경 선생께서는 말을 통해 사람들이 한 덩이가 되고 그 덩이가 점점 늘어 나라를 이룬다고 말씀하셨다.
또한 말이 오르면 나라도 오르고, 말이 내리면 나라도 내린다고 지적하셨다”며 “주시경 선생의 말씀을 새기고 온 겨레가 한글로 한 덩이가 되도록 더 노력하자. 말이 오르고, 나라도 오르도록 함께 애쓰자”고 덧붙였다.
한장희 기자 mr.han777@viva100.com